아기 목 가누는 시기 및 터미타임 하는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이 자료를 읽으시면 아기 목 가누는 시기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터미타임 하는 법도 쉽게 이해하시게 될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아기 목 가누는 시기 및 터미타임 하는 방법이 궁금하신 분들은 끝까지 읽어주세요.
아기 목 가누는 시기
아기가 목을 가누는 데까지 일반적으로 6개월 정도의 기간이 필요합니다. 아기가 목 근육에 힘이 생겨 목과 머리를 가누는 것은 기어 다니고, 안고, 걷는 것과 같은 다른 발달의 기초가 됩니다. 또한 머리와 목을 제어할 수 있다면 아기가 주변을 탐색하고 학습하기 위해 소리 나는 쪽으로 고개나 몸을 돌리고, 눈에 보이는 대상을 관찰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아기가 3개월이 되면 양육자나 타인의 도움을 받아 목과 머리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6개월에는 머리를 들고 좌우로 돌릴 수 있을 정도로 목 가누기가 가능하게 됩니다.
시기 별 아기 목 가누기 발달
개월(시기) | 내용 |
신생아 시기 | 신생아 시기의 아기는 목 근육이 매우 약해 양육자가 도와주지 않는다면 머리가 뒤로 젖혀집니다. |
1개월~2개월 | 2개월 초입에 아기는 머리를 들어올리는 동작을 하려고 합니다. 또한 머리가 다시 바닥으로 떨어지기 전에 머리를 한 쪽으로 약간 돌릴 수도 있습니다. |
3개월~4개월 | 3개월 아기는 머리와 가슴 상단을 들어올릴 수 있어야 하고, 바닥에 있을 때는 스스로 손을 짚어 지탱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 시기 아기는 카시트나 슬링(포대기)에서 머리를 지탱할 수 있을 정도로 목의 힘이 세집니다. 그렇지만 흔들림이 심한 경량 유모차에는 아직 흔들릴 수 있으니 6개월까지는 아기 머리가 최대한 흔들리지 않는 제품을 사용해야 합니다. 4개월 아기는 양육자의 도움없이 머리를 들 수 있을만큼 충분히 스스로 통제가 가능합니다. 이 시기 터미타임을 통해 목근육을 강화시키는 것이 좋답니다. (터미타임을 하는 법은 글 아래에서 좀 더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5개월~6개월 | 이 시기 아기는 앉아있을 때 뿐 아니라 양육자에 기대 서있을 때도 머리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
※ 아기가 3개월인데 아직도 목 가누기를 못한다면?
아기마다 성장 속도에 차이가 있으며 목 가누기 시기도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아기가 5개월이 될 때까지 목이나 머리를 잘 가누지 못한다면 병원에 방문해 진료를 받아보세요. 아이가 일찍 태어난 조산아(미숙아)인 경우(임신 37주 전), 대부분의 아기들보다 발달이 다소 늦을 수 있으니 걱정되신다면 인터넷 글을 찾아보시기보다 병원에 가서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영유아 건강검진을 이용하신다면 무료로 시기별 아기 발달 상태를 체크할 수 있으니 활용하시면 좋겠네요.
[임신과 육아] - 영유아 건강검진 시기, 문진표 작성 방법, 검진병원 찾는 법
영유아 건강검진 시기, 문진표 작성 방법, 검진병원 찾는 법
오늘은 영유아 건강검진 제도부터 검진 시기 및 검진 항목, 문진표 작성방법, 검진병원 찾는 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게시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영유아 건강검진 및 검진 시기 및
happybirthday2u.tistory.com
터미타임과 터미타임 하는 방법
터미타임이란?
터미타임은 아기가 팔과 다리를 움직여 머리, 목, 상체 전반의 근육을 키우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아기 머리 뒷부분이 눌리는 것도 방지해준답니다. 터미타임은 탯줄 탈락 후부터 바로 시작할 수 있으며, 생후 3개월까지 매일 2~3회씩 2~5분 정도 진행하면 됩니다. 아기가 힘들어한다면 멈추고 시간 간격을 두고 연습하면서 시간을 차츰 늘려보세요.
터미타임 하는 방법
① 터미타임을 위해 아기가 엎드릴 담요나 매트 또는 아기 가슴을 받칠 수 있는 베게를 준비해주세요. 아기가 낮잠에서 깨고 기저귀를 갈아준 뒤 시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② 아기가 좋아하는 장난감들을 앞에 두거나 양육자(아기가 신뢰하는 대상)가 앞에 앉고 터미타임을 하도록 도와주세요. (아기가 주변 환경이나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법을 배우는데도 도움이 된답니다.)
아기 목 가누는 시기 및 터미타임 하는 방법을 설명드렸습니다. 다른 내용도 궁금하시다면 상단의 글들을 참고해보세요.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 구독, 하트(공감)를 해주시면 블로그를 지속해서 운영하는 데에 보탬이 됩니다.
'임신과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생아 설소대 수술 해야하나요? (0) | 2022.10.12 |
---|---|
유아 야경증 증상과 원인, 치료 (0) | 2022.10.05 |
아기 신발 사이즈와 발 사이즈 재는 법 알아보기 (1) | 2022.09.23 |
아기 옹알이에 반응해야 하는 이유와 반응하는 법 (2) | 2022.09.16 |
아기 이 나는 시기, 이앓이 증상과 완화 방법 (0) | 2022.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