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임파워먼트(Empowerment) 한 번에 이해하기

@@!!ㅎㅎ 2022. 9. 2. 23:52
반응형

오늘은 임파워먼트와 4가지 요소(차원)들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임파워먼트는 조직심리학과 경영학에서도 이미 오래전부터 다뤄왔던 개념으로 고전적 리더십에서 더 나아가 리더로서 가져야 할 필수 덕목이기도 합니다. 이 글을 모두 읽으시면 임파워먼트에 대해서 보다 더 자세히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임파워먼트(Empowerment, 임파워링 또는 권한 위임)

노동력의 교육 수준과 기술 수준이 점점 더 높아짐에 따라, 조직이 종업원들의 행동을 통제하고 감시하기 위해 두었던 규제들을 풀 필요가 생겼습니다. 심한 감독, 엄격하게 통제된 의사소통 경로, 명령계통처럼 조직을 통제하기 위한 체계에 대한 필요성은 관리자들과 종업원들 간에 능력 수준에서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발생되었습니다.

 

임파워먼트 한 번에 이해하기
임파워먼트 한 번에 이해하기

 

고전적 관점(과학적 관리법의 시대로부터 나온 것)은 관리자들이 일반적으로 작업자들보다 능력이 훨씬 더 있고 조직에 관한 문제들에 대한 통찰력도 훨씬 더 높다는 것이었습니다. 작업자들(Mintzberg의 용어에 의하면 운영 핵심)은 기본적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고용되고 그들을 통제 또는 감독하기 위한 체계가 필요하다고 여겨졌습니다. 시간이 지나고 노동력의 교육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작업자들을 심하게 통제할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전통적으로 관리자들이 했던 책무들(예, 의사결정)이 조직의 하위 수준으로 내려가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에 의해 비관리직 작업자들이 과거 관리자들이 가졌던 권한을 가지게 되었고 관리자 역할을 하는 사람의 수가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임파워먼트(empowerment)에서 핵심은 '권한'에 있습니다. 종업원들에게 보다 많은 권한을 부여하고 전통적으로 관리자들이 가졌던 이러한 권한을 분배함으로써 중간관리자 직무의 감축이나 제거가 가능해졌습니다. 과거에 이러한 자리에 부여되었던 권한이 부분적으로 종업원들에게 재분배되어서 결과적으로 그들에게 임파워먼트가 이루어졌습니다. 한 연구에서는 임파워먼트를 조직이 종업원들에게 권한을 제공하도록 구조적으로 변화된 것으로부터 초래된 심리적 결과라고 해석했습니다.

 

 

임파워먼트의 4가지 차원

Spreitzer(1997)는 임파워먼트의 4가지 일반적 차원들을 밝혔습니다.

 

① 의미(meaning) : 업무 수행 활동이 자신의 가치체계에 부합될 때 개인은 의미를 느끼게 됩니다. 권한을 위임받은 개인들은 자신의 일로부터 의미를 느낍니다. 그들은 자신들이 하는 활동에서 '신이 나고' 의미를 느끼게 됩니다.

 

② 유능감(competence) : 권한을 위임받은 개인들은 자기 효능감 또는 개인적 유능감을 느낍니다. 그들은 필요한 기술과 능력뿐만 아니라 성공적으로 일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있다고 믿습니다.

 

③ 자결성(self-determination) : 자결성은 환경에 의해 강요된 행동이 아니라 자기가 주도하고 자신의 의사에 의해 조절되는 행동에서 나타납니다. 권한을 위임받은 개인들은 자신이 한 행동에 대하여 책임감을 느끼고 주인의식을 갖습니다. 

 

④ 영향력(impact) : 영향력은 자신이 조직의 결과에 효과나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에 대한 개인의 믿음입니다. 권한을 위임받은 개인은 스스로를 '영향력이 있는 사람'이라고 간주합니다. 즉, 그들의 행동이 의도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고 믿습니다.

 

Spreitzer는 권한을 위임받은 개인들이 보다 혁신적이고, 조직에서 상향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고, 그들의 직무에서 효과적일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습니다. 권한을 위임받은 개인들은 전통적인 역할을 맹목적으로 따르지 않고 그러한 역할에 도전하고 의문을 제기할 가능성이 큽니다. 조직 변화를 위한 개입들은 조직효과성과 개인의 만족 둘 다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임파워먼트의 개념은 개입을 설계하는 데 잠재적으로 유용한 틀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성공적인 조직변화를 위한 개입의 한 가지 결과는 종업원들에게 권한을 위임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조직이 수행하는 일의 성질과 종업원의 능력 수준에 따라 달라집니다.

 

 

오늘은 임파워먼트에 대해 공유드렸습니다. 모두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 계속 조직 및 산업심리학 이론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하트(공감), 구독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반응형